현대사회와 불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인사 댓글 0건 조회 1,294회 작성일 14-06-04 15:05본문
현대사회와 불교 |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20세기는 실로 많은 변화를 경험한 시대임에는 틀림없다고 합니다. 먼저 인구만 보아도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16억이었던 세계 인구가 한 세기 동안에 4배에 가까운 60억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런 인구 증가율은 다른 어느 세기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기현상이라고 합니다. 또한 금세기의 과학문명의 눈부신 발전은 다른 어느 시대보다 인류에게 생활의 편리함을 안겨준 것만은 사실입니다. 과학 기술은 통신 매체와 운송 수단을 발달시켜 지구를 하나의 촌락으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금세기를 인류의 역사상 가장 풍요를 구가하고 있는 시대라고 말합니다. 현대인은 산업화 덕분에 과거보다 엄청난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으며, 나아가 더욱 더 풍요로운 물질 문명의 향유를 위해 더욱 산업 발전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현대인이 물질 만능주의에 빠져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정치, 과학, 학문, 예술 및 문화 등 모든 부문의 가치를 물질적 가치로 환산해서 가늠하려고 합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인간의 가치를 그가 얼마나 많은 물질을 소유하고 있느냐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인간을 경제적 가치의 생산 부품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보다는 물질을 앞세우는 물질 만능주의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은 여지없이 무시됩니다. 결국 물질만능주의는 인간을 이기적인 존재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다른 사람보다 오로지 자신의 물질적 풍요에만 전념하는 이기적인 사고 방식은 환경을 무차별하게 파괴시키게 되었습니다. 지구는 우리의 후손들이 살아가야 할 삶의 공간입니다. 그런데도 현대인의 이기적인 인간 중심주의는 생명이 존속해가야 할 가장 기본적인 자리인 자연을 파괴해 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21세기에 들어선 인류는 커다란 전환기에 처해 있음이 분명합니다. 서구의 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이 인류를 이처럼 절박한 위기로 몰아가고 있다면, 이러한 위기로부터 벗어나고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이는 인류를 암울한 미래로부터 구원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으로 일대 전환이 요구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경, 생명, 생태계, 자연에 대한 관심과 위기의식은 세계관과 인간관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으며 새로운 종교문화를 요청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대의 종교가 가장 관심을 가져야 문제는 바로 생명의 문제이며 환경의 문제입니다. 이 환경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고 또 그 의미를 강화시켜 종교 문화화 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시대의 종교문화는 어떤 가치나 윤리를 제시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환경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현실적으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입니다. 부처님은 모든 존재가 생명이 있는 유기체처럼 서로 뗄 수 없는 불이(不二)의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연기의 가르침으로 우리에게 일깨워 주셨습니다. 이렇게 모든 존재가 뗄 수 없는 관계 속에 있음을 자각하고 그 존재들을 향한 사랑이 자비입니다. 따라서 생명체에 대한 불살생은 물론이거니와 심지어 무생명에도 불성이 있으니 산천초목이라도 부처님을 대하듯이 공경하고 보호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최근에 우리사회에서는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하고 있습니다. 태아의 성감별과 임신중절이나 안락사와 장기매매와 같은 문제들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공학의 발달로 동물복제에 이어 인간복제까지 현실화되고 있는 바, 생명의 존엄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를 죽이지 말고 아끼며 사랑하라”는 불살생의 계를 첫 번째 실천 덕목으로 세우신 것은 생명체를 사랑하고 보살피라는 불살생의 계율이야말로 인간이 실천해야 할 최고의 윤리라는 뜻입니다. 또한 불교의 연기법에서는 모든 존재를 평등하게 바라봅니다. 나를 둘러 싼 모든 존재를 중생이라고 부릅니다. 중생의 개념은 유정(有情) 즉 생명체 뿐만 아니라 생명현상이 없는 무정(無情) 즉 무생명체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모든 중생은 부처님의 성품인 불성을 지니고 있다(一切衆生悉有佛性)”란 말은 부처님으로 성불할 수 있는 범위가 인간을 넘어 모든 생명으로, 다시 생명체에서 모든 무생명체로 확대 되어간 것입니다. 이것은 전존재를 평등하게 보는 불교의 생태관의 일면입니다. 이러한 바탕에서 모든 중생이 하나이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의 사상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범망경』에는 “모든 흙과 물은 모두 나의 옛 몸이고 모든 불과 바람은 모두 다 나의 진실한 본체이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러한 통찰은 세계와 내가 같은 뿌리에서 나온 것(物我同根)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즉 불교의 생태윤리는 사람에게 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에게도, 식물뿐만 아니라 돌, 물, 흙에게도 미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자비의 생태윤리는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야기된 지구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생명체들이 공존 공생해야 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가치로 받아들여져야 할 종교적 윤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환경문제가 근원적으로 모든 생명체의 존재위기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제는 그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할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따라서 인간 중심적 환경윤리가 생태 중심적 종교윤리로 승화되어야 하는 것은 이 시대의 종교적 당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안이 되는 종교 윤리는 바로 불교의 동체대비 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환경의 위기는 생명의 위기이며, 생명의 위기는 곧 불성을 가진 모든 중생의 위기입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는 길은 바로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생명중심의 사고로의 전환에 있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성실하게 추구하는 실천적 인간형으로 제시된 인물이 바로 보살입니다. 보살은 세계의 모든 현상이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음을 깨달은 존재입니다. 모든 사물이 자신과 관계되지 않은 것이 없음을 알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이웃, 즉 생물과 무생물에까지 사랑을 보냅니다. 이와 같은 지혜의 실천에서 오는 끝없는 사랑이 자비입니다. 자비는 불교의 인간관계에서 요구되는 기본윤리이고 더 나아가서 모든 존재 사이에 기본이 되는 생태윤리입니다. 따라서 보살은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생태적 가치관과 생태적 인간관을 제시합니다.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가 만들어낸 인간성의 상실과 가치관의 전도, 개인주의의 피폐에 대한 근본적인 치유는 인간성의 회복에 있습니다. 인간성의 회복은, 불교의 연기법에 따라 모든 삼라만상이 자신과 유기체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자각하여 이웃에 대한 사랑이 곧 나 자신을 완성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고 온 세계를 빈곤과 무지와 괴로움이 없는 이상 세계, 즉 생태적으로 온전한 불국토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보살의 삶을 이루는 것입니다. 이는 다시 말해서 환경보살의 길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구호에 그치던 환경운동이 아니라 불사적(佛事的) 차원에서 모두 환경보살의 길을 걸어야 할 것입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